안동 하회마을의 전통한옥인 충효당
하회마을을 대표하는 또 하나의 전통한옥인 충효당에 관해서 같이 구경하도록 하시겠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것처럼 충효당은 서애 류성룡 선생 사후에 지어진 종택으로 '서애 종택'이라고도 부르고 있습니다. 양진당과 더불어서 하회마을을 대표하는 살림집입니다. 보물로 지정이 되어있고요. 그래서 구성은 대문간채와 남성 공간인 사랑채, 여성 공간인 안채, 그리고 조상을 모시는 제향 공간인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배치도에서 보시는 것처럼 양진당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배치는 앞에 대문간채가 독립된 건물로 길게 가로로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조금 뒤에 떨어져 북쪽으로 'ㅁ'자 형태로 안채가 배치되어있고, 안채 앞쪽에 행랑채가 동쪽에서 길게 'ㅡ'자 형태로 이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사랑채도 같이 이어져있습니다. 사랑채 뒤쪽에는 별동으로 남향을 한 사당이 있고, 그 동쪽 뒤로 서애의 유품을 보관 진열하고 있는 영모각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충효당에는 다른 양반가와 다른 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충효당의 대문채가 전면에 독립되어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랑채가 안채의 앞쪽에 연결되어 옆으로 길게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안채, 사랑채, 대문간채를 한 번에 지은 것이 아니라 시대가 지나면서 필요에 따라서 건물을 하나씩 필요에 따라서 건축했던 것입니다.
충효당 건물의 구성
먼저 대문간채는 맨 앞에 위치하고 있는데 12칸 건물입니다. 구조는 자연석 기단 위에 대문간채를 세우고 있는데, 당시에는 말을 메어두는 마구간, 그리고 군사들이 머무는 위병실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다음으로는 사랑채입니다. 솟을대문을 진입하면 정면에 사랑마당과 사랑채가 보이고 있습니다. 사랑채는 정면 6칸 측면 2칸의 겹집 형식으로 되어있는데, 가운데 정면 2칸과 측면 2칸 부분에 사랑 대청이 있습니다. 그리고 사랑채는 큰 사랑방과 작은 사랑방으로 구분을 하면서 연결을 시키고 있습니다. 큰 사랑방과 창방의 문을 열면 안채와 연결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러니까 사랑채와 안채를 분리하면서 또 이렇게 연결도 했던 것입니다. 그러면 충효당의 구조에 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충효당의 구조는 2단의 장대석 기단으로 먼저 쌓았습니다. 그리고 주초를 놓은 다음에 기둥을 세우고 지붕을 얹었습니다. 충효당에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살림집의 위계를 볼 수 있는데, 사랑채가 2단의 장대석 기단을 사용하는데 반하여 문간채는 자연석 기단을 사용해서 건물에 따른 위계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건축적으로 사랑채는 3량 가입니다. 그래서 두리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굴도리를 얹었습니다. 대청, 툇간과 연결된 부분에는 소로 수장도 하였습니다. 전면과 우측면에는 쪽마루를 설치하였고 거기에 또 계자 난간을 설치하였습니다. 그다음에 충효당에서 우리가 사랑채와 안채를 연결한 그런 기법들을 볼 수가 있습니다. 즉, 사랑마당에서 안채로 들어가면 중문이 있는데, 그리고 안채에서 또 다른 중문이 있습니다. 그러면서 유교사상이 도입되어서 남녀의 공간이 분리되었고, 안채를 깊숙이 위치시키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큰 사랑방과 침방의 안쪽 문을 통해서는 안채와 출입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사랑채와 안채를 분리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연결을 했던 것입니다.
안채의 구성
다음으로 안채를 보시겠습니다. 안채는 조선 중기 양반가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ㅁ'자 형태의 안마당을 중심으로 건물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안주인이 주로 사용하고 있고, 공간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규모입니다. 3칸 규모의 안방은 왼쪽에 있고, 그 오른쪽에 정면 2칸의 안대청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안방 좌측에 부엌이 있고, 우측 뒤에는 1칸의 건넌방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앞 상방과의 사이에 1칸 크기의 작은 마루를 만들고 있습니다.
사당과 작천 고택의 구성
다음 사당에 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입니다. 툇간이 조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불천위로 모시는 서애의 신위나 사대 조의 신위를 제향하고 있습니다. 작천 고택은 착천 류 도관 선생의 호를 따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원래 2채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하는데, 1943년 대 홍수가 나면서 문간채가 유실되어서 현재는 안채만 남아 있습니다. 먼저 안채를 보시면 정면 5칸에 측면 1칸 반의 규모로 되어있습니다. 'ㅡ'자 형 평면에 지붕은 맞배지붕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구조를 보시면 자연석 기단을 쌓았고, 자연석 기단 위에 덤벙 주초를 놓았고, 그리고 방형 기둥을 세웠습니다. 가운데 정면 1칸에는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왼편에 안방, 그리고 부엌을 배치를 하였고, 대청 오른편에는 건넌방과 사랑방을 차례로 배치하였습니다. 안방, 대청, 건넌방 앞에는 역시 툇마루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사랑채의 구성
다음으로 사랑채를 보시겠습니다. 사랑채는 별도의 공간으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안채와 동일 건물로 연결하였습니다. 그러면서도 건넌방과 사랑방 사이의 마당에 건물과 직각으로 내외 담을 쌓아서 남녀 공간을 분리하는 내용을 볼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작천 고택에서 우리가 특이하게 볼 수 있는 것이 칸의 구성입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주칸인 가운데 칸이 가장 넓고, 주변으로 갈 수 록 칸이 좁아지는 것에 반해서 작천 고택의 경우는 쓰임새에 따라서 칸의 크기를 조절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안방이 가장 넓어서 8자, 사랑방이 7자, 그리고 대청과 건넌방은 6자로 하였습니다. 이름하야 현대건축에서 이야기하는 모듈을 적용을 시키는데, 실의 기능과 용도에 따라서 이를 달리 했던 것입니다. 다음으로 옆에 아래채를 보실 수가 있습니다.
아래채의 구성
아래채는 건물의 위계에 따라서 안채보다는 낮게 초가로 건축하였습니다. 이상으로 하회마을에 관한 대표적인 집 3채를 이렇게 보셨습니다. 그렇다면 '하회마을에 있는 한옥의 특징은 무엇일까?'라는 것을 생각하면 먼저 안채는 집의 가장 안쪽에 자리 잡게 됩니다. 그리고 사랑채는 바깥쪽에 위치를 하게 되는데, 이것은 실제 유교적인 정신이 들어가서 남녀의 생활범위에 따라서 배치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여성 공간은 집의 가장 안쪽인 깊숙한 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남자는 바깥쪽에 위치한 공간에서 거주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두 번째로 여러 채로 구성된 살림집은 채마다 외부공간이 형성되어있습니다. 그리고 그 성격과 기능에 따라서 명칭과 용도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안마당, 사랑마당, 행랑 마당 등입니다. 그래서 안채에 딸린 안마당, 사랑채에 딸린 사랑마당, 그리고 행랑체에 딸린 행랑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외부공간 구성은 담장과 건물로 형성을 하고 있는데, 공간을 드나들기 위해서 문을 이용해서 연개와 분절을 시키고 있습니다. 그래서 외부에서는 직접적으로 안채로 들어가지 못하고, 중문이나 아니면 사랑마당을 통해서 들어갈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하회마을의 기와집은 대부분 'ㅁ'자 형태의 평면을 기본으로 구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안마당이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습니다. 안마당에서는 다양한 집안 행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이는 다른 집들에서도 마찬가지로 안채 대청에서 집안의 대소 의례가 행해지는 것과 같은 내용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ㅁ'자 형태의 배치를 바탕으로 해서 필요한 건물에 추가로 구성되는 그런 형태를 볼 수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안마당에는 안방과 안대청이 정면으로 면하고 그 길이가 거의 같게 되어있습니다. 지금까지 하회마을에 있는 한옥 살림집들을 말씀드렸습니다.
'한옥, 건축, 한옥 설계, 한옥 건물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옥 건축 방법과 한옥형 관공서 (0) | 2022.07.29 |
---|---|
안동 하회마을의 유교건축(겸암정사, 원지정사, 병산서원) (0) | 2022.07.29 |
안동 하회마을의 공간구성과 살림집 (0) | 2022.07.28 |
건축기획시 고려해야할 요소 (0) | 2022.07.28 |
건축설계 시 도면의 종류와 서류 (0) | 2022.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