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의 개요(입면도, 단면도)
도면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내용들로 공부를 진행하겠습니다. 버스가 빨간색으로 되어 있어서 예쁜 버스가 되겠습니다. 이렇게 우리가 일반적으로 물체를 볼 때는 3차원의 입체로 돼서 볼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여러분들이 이 버스 대신 건물이 옮겨져 있다고 생각을 하면 이것이 바로 조감도가 되는 것입니다. 물론 이 그림은 버스의 조감도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자동차 디자인이나 산업디자인에서는 똑같이 마찬가지로 조감도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우리가 지금까지 배웠던 것처럼 2차원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이 그림은 버스를 가운데로 잘랐습니다. 가운데로 잘라가지고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모습이 되겠습니다. 맨 앞에 운전석이 있고 그다음에 좌석이 있는데 좌석 부분에 보면 전부 다 잘라져서 잘라진 부분만 보이겠습니다. 이것이 바로 평면도의 원리인 것입니다. 그래서 잘라가지고 버스의 천정 면이 아니고, 버스를 잘라서 그러니까, 가로방향으로 잘랐습니다. 그렇게 해서 안쪽으로 본모습이 되겠습니다. 만약에 이것을 버스 위 천장 쪽에서 바라봤다면 그것은 입면도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평면도가 이렇게 해서 작성이 되는 것입니다.
입면도
다음으로 이제 입면도에 관한 내용이 되겠습니다. 지금 버스가 있고 그리고 앞에 사람이 있습니다. 이 사람이 앞에서 버스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럼 이 사람 눈에 '이 버스가 어떻게 보이겠느냐?'라는 것이 바로 입면도가 되는데, 지금 여기서는 정면에서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은 정면도가 되겠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이 앞에서 사람이 바라본 버스의 앞부분이 보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버스의 앞부분을 2차원적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되는데, 이것이 입면도이고, 그리고 정면에서 바라봤기 때문에 정면도라고 이야기를 해주고 있습니다. 다음에는 버스에서 이 사람이 좌측에서 보고 있습니다. 왼쪽에 서서 버스를 바라보고 있는데, 거기서 버스가 어떻게 보이는가라는 문제가 되겠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이렇게 버스가 앞부분이 보이고 있고, 옆 부분이 보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옆에서 봤을 때 모습만 보이기 때문에 이것은 입면도인데 특히 왼쪽에서 바라보았기 때문에 좌측 면도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사람이 오른쪽에 있습니다. 오른쪽에서 버스를 쳐다봤을 때 보이는 모습을 2차원으로 그리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 모습을 보니까, 왼쪽에 버스 앞부분이 있고, 버스 오른쪽 부분이 그대로 보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도 마찬가지로 입면도인데, 오른쪽에서 봤기 때문에 우측면도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 사람이 뒤쪽으로 갔습니다. 그래서 버스 뒤쪽에서 버스를 바라본 모습을 그렸는데 이것은 여기 보시는 것처럼 똑같습니다. 버스 뒷면이 보이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입면도인데, 뒤쪽에서 봤기 때문에 배면도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입면도는 '어떤 방향에서 바라보느냐?'라는 것에 따라서 정면도, 배면도, 좌측 면도, 우측면도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맨 위에 천장에서 바라볼 수도 있고, 아래에서도 바라볼 수가 있습니다.
단면도
다음으로는 단면도에 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금 이 사람이 버스 앞에 서있습니다. 이 버스를 중간 부분을 딱 잘랐습니다. 잘라가지고 그 뒤쪽으로 보이는 모습을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단면도라고 하는데, 이 단면도를 2차원적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됩니다. 이렇게 되는데 입면도와 차이점은 잘라진 부분을 전부 다 굵은 선으로 표현을 합니다. 그리고 뒤쪽에 보이는 부분을 가는 선으로 표현을 합니다. 그래서 굵은 선과 가는 선을 표시를 하는데 만약에 이것이 건물이었다면 여기에 치수와 더불어서 재료 표시가 되어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 부분은 버스를 종 방향으로 잘라가지고, 본 단면도라고 해서 종단면도라고 이야기합니다. 다음에는 이 사람이 옆에 서있습니다. 옆에 서있으면서 버스를 옆 방향으로 잘랐습니다. 자르니까 안에서 본모습을 볼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도면으로 표현하니까 보시는 것처럼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잘라진 부분은 굵은 선으로 표시를 하고, 저 뒤에 보이는 좌석이라던가, 이런 것들은 가는 선으로 표시를 합니다. 이것이 횡 방향으로 잘랐다고 해서 횡단면도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도면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현을 할 수 있는데, 3차원적인 것을 2차원적으로 표현한다고 생각을 하시면 되겠고, 또, 건축을 하기 위해서는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바로 이런 2차원적인 도면을 보면서 3차원을 상상을 해야 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한옥, 건축, 한옥 설계, 한옥 건물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기획시 고려해야할 요소 (0) | 2022.07.28 |
---|---|
건축설계 시 도면의 종류와 서류 (0) | 2022.07.27 |
건축설계 진행과정과 건축물 계획 (0) | 2022.07.27 |
건축 요소 및 설계과정 (0) | 2022.07.27 |
조선시대의 전통마을과 구성요소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