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마을, 전통마을의 개념과 구성 원리, 역사
한옥마을, 전통마을의 개념과 구성 원리, 역사
한옥마을은 우리나라에서 이미 많이 알려진 유명한 마을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러한 대표적인 전통(한옥) 마을과 현대(한옥) 마을을 소개하는 시간으로 하겠습니다. 먼저 마을은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서로 상부상조하며 살 수 있는 공동생활을 추구했을 것입니다. 그렇게 하고, 원시시대에는 짐승으로부터 보호를 해야 되기 때문에 사람들이 모여서 집단으로 거주했을 것입니다. 그래서 어느 때부터인가 이런 형태의 마을이 생겼는지는 우리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사람이 이 지구 상에 살면서 마을은 자연스럽게 형성이 되었을 것입니다.
전통마을의 개념
그러면,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마을의 개념은 무엇인가? 아마 현재 농촌마을과 유사한 개념이 아니었을까 생각이 됩니다. 그래서 자연을 경계로 자족적 생활이 가능한 단위이고, 그다음에 가치관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모인 단위로 공동체 생활이 이루어지는 기본 단위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전통마을은 오늘날 우리가 농촌마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그런 형태가 아니었을까라고 생각됩니다. 마을은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누게 됩니다. 위치에 따라서 농촌, 산촌, 어촌으로 구분합니다. 그리고 사람이 사는 밀도에 따라서 그리고, 집이 위치하고 있는 밀도에 따라서 집촌, 산촌, 괴촌 이렇게 구분합니다. 그런 다음에 기능에 따라서는 사하촌, 역원촌, 신앙촌 등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 이외에도 다른 유형이 있겠습니다마는, 대표적인 유형은 이러한 내용으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것은 전통마을의 입지입니다. 이 마을이 어떻게 입지를 해 있느냐라는 부분이 되겠는데, 입지에 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전통마을의 입지는 먼저, 배산임수, 그리고 장풍 득수의 지형을 따랐을 것입니다. 마을 앞에 들판이 널리 펼쳐져 있고 안산이 있고 천이 동에서 서쪽으로 흐르고 마을길이 나뭇가지처럼 뻗어있는 그런 형상일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집을 지을 터를 고를 때 상택이라고 하는데 자연과 집이 서로 융합되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해서 자연과 마을과의 조화를 첫 번째 덕목으로 생각했던 것입니다. 특히, 자연과 같이 어우러지는 이 주거, 그리고 마을은 살아있는 생명체로 파악해서 자연과 유기적으로 융합⋅동화되는 공간체계를 만들고자 했던 것입니다. 이처럼 한옥에서 뿐만 아니라 마을에서도 자연과 인간이 합일이 되는 그런 공동체 생활 그리고 자연사상을 따랐던 것입니다. 그래서 전통마을 구성에 특징을 보면 첫째는 자연과 순응하는 형태, 그리고 계층, 위계적인 공간 구성, 연속적으로 흐르는 공간 구성, 인간적 척도에 개념을 둔 마을을 구성했던 것입니다.
마을의 역사
이 마을 구성 원리는 우리가 앞에서 공부했던 한옥의 구성 원리와 같습니다. 이만큼 우리 조상님들은 자연과의 합일사상을 가장 우선시했던 것입니다. 그러면, 이러한 마을이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발달하기 시작하였느냐, 아마 마을에 발달은 농경의 발달과 더불어서 정착생활이 이루어지면서 시작되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신석기시대에는 마을의 형성보다는 움집으로 이루어진 취락 유적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대표적인 예는 서울 암사동 유적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동기 시대 때는 농경생활의 시작으로 정착생활이 이루어지면서 방어를 목적으로 하는 취락이 형성되었습니다. 그래서 마을이 형성되면 그 주변의 호를 파기도 하고 그랬습니다. 그러던 것이 삼국시대에 들어서면서 지리학, 천문학 등의 발달로 계획적인 도시, 그리고 전투 방어를 위한 성읍마을이 등장하게 됩니다. 이때 이웃나라의 중국으로부터 도시계획에 수립에 관한, 도시계획의 기법에 관한 영향이 등장하기도 합니다. 그런 다음에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는 풍수사상의 도입으로 자연을 반영해서 마을을 형성하게 됩니다. 조선시대에는 풍수지리의 자연적 모형과 주례의 사회적(유교적) 모형이 절충되어 마을을 형성하게 됩니다. 행정⋅군사⋅상업의 중심지에서 읍성마을과 씨족마을 등으로 구성됩니다. 그러다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면서 신작로와 철도 등 근대 교통의 발달과 더불어서 신시가지가 등장하게 되는데 기존 중심지에서의 이동까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근대적인 도시의 마을계획이 우리나라에 도입되게 되는 것입니다.